AI와 함께 글쓰기/책방, 무등산에서 살아남기

교보문고 판매 중『무등산』&『지리산』(몽당소설, 책방일기, AI에게 질문하기)

몽당소설 『지리산』 & 『무등산』교보문고 판매 중 자세히보기

책방일기

🎓 누가 나의 대학을 결정하는가?

몽당소설 2025. 6. 15. 17:45

― 대학 정원 미달 시대, 중위권 고3 학생의 자기주도 진학 전략


📉 1. 대학은 넘치고, 학생은 줄어든다

첨부된 교육부 자료에 따르면,

  • 2019년: 입학 가능 자원 52만 명
  • 2024년: 37만 명까지 감소
  • 2030년까지도 40만 명대 유지 예상
  • 반면, 대입 정원은 약 49만 명 수준으로 유지

👉 대학이 학생을 뽑는 시대로 바뀌고 있습니다.


⚠️ 2. 무분별한 ‘대학 영업’과 진학 유도 증가

대학은 신입생 충원률을 위해 다양한 마케팅과 홍보를 시도하고 있습니다.

  • 고교 방문 설명회 확대
  • 지역특화 전형 강조
  • SNS·유튜브 등 온라인 콘텐츠 마케팅
  • 고교 교사 및 학부모 대상 ‘설득 전략’ 강화

문제점: 진로 탐색보다 학교 생존 전략에 기반한 진학 상담이 이뤄짐


🧱 3. 중위권 고3 학생의 진학 결정 영향력 구조

           영 향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주체영향 내용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위험 요소

 

👪 부모 안정적인 직업, 학비 고려 감정적·경제적 개입
🧑‍🏫 담임·진로교사 입결 기반 추천, 학교 실적 고려 특정 대학 유도 가능
🧑‍🤝‍🧑 친구·선배 본인의 경험, 감정 공유 객관성 부족, 유행 따라감
🏫 대학 다양한 전형과 혜택 제시 지나친 홍보, 실질 정보 부족
🤖 AI 및 자기 분석 진로 탐색, 성향 분석 아직 활용이 부족함
 

🔍 4. AI 기반 진로탐색과 자기주도 전략의 필요성

✅ 왜 지금, 자기주도 진학인가?

  • 📉 입학 자원 부족으로 “아무 대학이나 붙는 시대”로 변질
  • 졸업 후 재수·반수 증가: “이 길이 내 길이 아니었어”
  • 🎯 대학보다 중요한 건 전공 선택과 삶의 방향성

🧭 5. 중위권 학생을 위한 자기주도 진학 5단계 전략

              단 계                   내 용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활용 도구

 

① 자기이해 나는 어떤 사람인가? 진로 적성검사(커리어넷/워크넷), AI 상담
② 정보탐색 전공과 직업세계 연결 네이버 진로, 에듀넷, 대학 졸업생 후기
③ 비교분석 대학별 전공 커리큘럼 비교 대학 홈페이지, 졸업 후 진로 통계
④ 진학 전략 입결+진로+흥미의 교차점 찾기 자기주도 진학 계획표, 모의지원 시스템
⑤ 자기표현 “왜 여기에 진학하나요?”를 말로 정리 자기소개서 작성 훈련, 발표 연습
 

📌 6. “대학이 널 선택하는 시대, 너는 스스로 널 선택해야 한다”

  • 🎓 대학은 많고, 학생은 적어진다.
  • 🧭 남들이 정해준 길은 결국 다시 돌아서게 만든다.
  • 🤖 AI 도구, 진로 정보, 나만의 탐색을 통해
     👉 “나답게 결정한 대학”만이 삶의 방향을 만들어준다.

원하신다면, 아래와 같은 부가 자료도 드릴 수 있습니다:

  1. 자기주도 진로결정 시트 (A4 1장)
  2. 고3을 위한 AI 진로도구 활용 가이드
  3. “나를 위한 진학 설명회” PPT 양식
728x90